'태권도'라는 이름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태권도'라는 이름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태권도'라는 이름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Blog Article

'태권도'라는 이름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한국을 대표하는 운동 경기라면 뭐니 뭐니 해도 '태권도'일 거예요. 한국에서 생겨났고, 많은 사람들이 수련할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어디서나 한국어로 가르치고 배우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태권도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지고 전해지게 됐는지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듯해요. 대부분 막연하게 아주 오랜 옛날부터 조상 대대로 수련해온 전통 무예이겠거니 하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태권도라는 이름이 역사에 처음 등장한 건 1955년이에요. 그러니까 지금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어린 꼬마였던 시절 태권도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얘기죠. 그전에는 '당수', '공수', '권법'이라는 이름으로 무술을 수련하는 도장들이 있었어요. 그런데 이 도장들은 대부분 일제가 한반도를 강제로 점령했을 때 일본 무술인 '가라테'를 배운 사범들이 지도하고 있었어요('당수'나 '공수'는 가라테의 한국식 표현). 이 사범들 중에는 전통 무예인 '택견'이나 '중국 무술'을 배운 사람도 있었어요.하지만 수련 방식이나 심사를 통해 '급'이나 '단'을 따서 검은 띠를 받는 방식 등은 가라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해요.

그럼 1955년 당시 '태권도'라는 이름을 만든 건 누굴까요? 그건 바로 육군 장군이었던 최홍희였어요. 최홍희 역시 일제 강점기 일본 주오 대학에서 가라테를 배운 사람이었어요. 하지만 그는 해방 이후 일본식의 가라테 대신, 한국인 고유의 무술을 만들고 싶었어요. 그러던 중 자신이 지휘관으로 있던 부대의 당수 시범을 본 이승만 대통령이 '저게 택견이구만!' 하고 감탄한 데 착안해서 택견과 발음이 비슷한 한자어를 찾았어요. 그래서 '발태'자와 '주먹 권' 자를 결합해 '태권도'라는 명칭을 만들었던 거예요. 이승만 대통령의 오해에서 비롯된 일이었지만, 전통 무예인 택견과 비슷한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민족적'이고 '전통적'인 색깔을 입힐 수 있었어요.

그런데 당시 무도인들은 태권도라는 명칭이 영 마음에 들지 않았어요. 초기 태권도를 정립하는 과정에는 아홉 개의 도장(강덕원, 무덕관, 송무관, 오도관, 정도관, 지도관, 창무관, 청도관, 한무관)이 큰 역할을 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자신들이 일제 강점기 때 배운 그대로 '공수도'라는 이름을 쓰자고 주장했어요. 그래서 태권도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태'와, 공수도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수'를 결합해서 '태수도'라고 이름을 정했죠. 그 결과 1961년 출범한 태권도 단체의 이름은 '대한태수도협회'였어요.

그러다가 1965년에 드디어 오늘날과 같이 '태권도'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어요. 최홍희가 회장이 되면서 '태수도'와 '태권도' 사이에 어떤 것으로 할지 투표를 해서 한 표 차이로 '태권도'로 결정이 된 거예요. 우리에겐 너무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전해 내려오는 이름 같은데, 누군가가 만들고 투표로 결정했다니 어색한 기분이 들지 않아요?

'태권도'라는 이름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35년의 식민지 경험과 그걸 극복하려는 한국인들의 몸부림을 그대로 보여 주는 것 같아요.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일본에서 만들어진 무술을 배운 무도인들은 해방이 되면서, 일제 강점기에 배운 것과 앞으로 가르쳐야 할 것 사이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었을 거예요. 한국인 고유의 무술을 가르치고 싶은데, 이미 몸에 익은 가라테에서 완전히 새로운 무술을 만드는 건 사실상 불가능했을 테니까요. 하지만 이런 갈등 속에서 탄생한 '태권도는 이후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무예로 거듭나요. 그 과정은 다음장에서 다시 들려줄게요!

Report this page